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도 37회 안경사 국가시험(1교시) 6 / 9

by 점비. 2025. 10. 5.
반응형

46. 동일 굴절력의 유리렌즈와 비교하였을 때 플라스틱렌즈의 장점은?
플라스틱 렌즈는 유리 렌즈에 비해 비중이 낮아 가볍고, 내충격성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염색이 용이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Answer: ④ 내충격성이 크다.


47.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는 안경렌즈 소재는?
염색이 쉬움
투과율이 높음
아베수가 높음
주형주조법으로 제조함
위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안경렌즈 소재는 아릴디글리콜카보네이트(ADC)입니다. 흔히 CR-39라고 불리며, 플라스틱 렌즈의 표준 재료로 사용됩니다.
Answer: ③ 아릴디그리콜카보네이트(ADC)


48. 반사방지코팅렌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반사방지코팅은 렌즈 표면에서 발생하는 빛의 반사를 줄여 투과율을 높여줍니다. 특히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율을 높여 선명한 시야를 제공합니다.
Answer: ③ 가시광선영역의 투과율이 높다.


49. 고도근시인 사람에게 고굴절용렌즈를 추천하는 이유는?
고도근시인 경우 렌즈의 두께가 두꺼워져 무겁고 미용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고굴절용 렌즈는 일반 렌즈에 비해 굴절률이 높아 같은 도수라도 렌즈의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어 미용적으로 좋고 가볍습니다.
Answer: ① 수차를 줄이기 위해

 

50. 누진굴절력렌즈의 특징은?
정답: ⑤ 원거리에서 근거리까지 불명시역이 없다.
누진굴절력렌즈(Progressive Lens)는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야를 모두 제공하는 다초점 렌즈입니다. 이 렌즈는 렌즈 표면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근거리까지 초점 전환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불명시역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① 근용부 시야가 넓다: 누진렌즈는 원용부와 근용부 사이에 누진대가 존재하여 근용부의 시야가 단초점 렌즈에 비해 좁은 편입니다.
② 주변부 수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누진렌즈는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주변부에 수차(왜곡)가 발생합니다.
③ 경계선이 있어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 누진렌즈는 렌즈에 경계선이 없어 외관상 보기가 좋습니다. 경계선이 있는 렌즈는 이중초점 렌즈입니다.
④ 가입도 크기에 따라 상의 도약이 발생한다: 상의 도약(image jump)은 이중초점 렌즈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누진렌즈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51. 각막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각막은 눈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투명한 막으로,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각막 자체는 조절 능력이 없으며, 조절은 수정체에서 일어납니다. 각막의 전면은 볼록한 형태를 띠므로 (+)굴절력을 가집니다. 각막의 중심은 주변부보다 얇으며, 볼록 메니스커스렌즈 형상입니다. 또한, 전면의 곡률반경이 후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습니다.
Answer: ④ 볼록 메니스커스렌즈 형상이다.


52. 양안시기능과 동적시야 검사의 기준점으로 사용되는 안광학계의 주요점은?
양안시기능과 동적시야 검사의 기준점은 안구회전점입니다. 안구회전점은 안구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중심점으로, 눈의 회전운동의 기준이 됩니다.


Answer: ④ 안구회전점
53. 생략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생략안(Reduced eye)은 안구의 광학적 특성을 단순화한 모델입니다. 생략안에서는 주점과 절점의 위치가 동일하며, 주점과 곡률중심의 위치도 동일합니다. 안축의 길이와 상측초점거리가 같고, 단일 굴절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nswer: ② 주점과 절점의 위치가 동일하다.


54. 근시안을 적록검사 할 때, 피검사자가 녹색바탕의 시표를 더 선명하게 보았다. 옳은 것은?
적록검사(Red-Green test)는 완전교정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근시안의 경우 녹색 시표가 더 선명하게 보인다면, 이는 초점이 망막보다 앞에 맺히는 저교정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 구면굴절력 추가가 필요합니다.
Answer: ② 저교정 상태

 

55. 체르닝 타원곡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 ③ 안경렌즈에서 왜곡수차를 보정할 조건의 곡선이다.
체르닝 타원곡선은 안경렌즈의 왜곡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56. 정정간거리 15mm로 원용완전교정된 안경을 정정간거리 10mm로 착용하였다. 옳은 것은?
정답: ① (-)렌즈: 저교정, (+)렌즈: 과교정
(-)렌즈(근시 교정): 정정간거리가 짧아지면 렌즈의 교정 효과가 감소하므로 저교정이 됩니다.
(+)렌즈(원시 교정): 정정간거리가 짧아지면 렌즈의 교정 효과가 증가하므로 과교정이 됩니다

여러분 모두 힘내세요!! 아래는 저희 안경원입니다. 한번 방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카카오톡 바로가기
유튜브 영상 보러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