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6. 소아 안구돌출의 가장 흔한 원인
Answer: ④ 안와 연조직염
소아의 안구돌출은 대부분 안와 내 염증성 질환에 의해 발생하며, 그중 가장 흔한 원인은 안와 연조직염입니다. 안와 연조직염은 눈꺼풀 부종, 발적,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안와 내 조직의 급성화농성 염증입니다.
37. 녹내장 초기에 나타나는 시야장애
Answer: ① 중심부근암점
녹내장 초기에 주시점에서 10~20° 사이(비에룸 영역)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작은 암점이 나타나는 시야장애를 중심부근암점(paracentral scotoma)이라고 합니다.
38. 전구증상으로 광시증과 날파리증이 나타나는 질환
Answer: ① 망막박리
망막박리는 망막이 안구 벽에서 떨어져 나가는 질환으로, 전구 증상으로 빛이 번쩍거리는 느낌(광시증)이나 눈앞에 작은 점이나 실 같은 것이 떠다니는 느낌(날파리증)이 나타납니다. 병이 진행되면 눈앞에 검은 장막이 쳐 있는 것처럼 시야가 가려지는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39. 자이스샘, 올샘에 발생하는 급성화농성 염증
Answer: ② 겉다래끼
겉다래끼는 눈꺼풀의 바깥쪽에 있는 자이스샘(Zeis gland)이나 올샘(Moll gland)에 발생하는 급성화농성 염증입니다. 발적, 가려움, 압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비농이 필요할 경우 눈꺼풀테와 나란하게 절개하여 배농합니다.
40. 나이 관련 각막변성
Answer: ③ 노인성 각막변성
노인성 각막변성(arcus senilis)은 나이와 관련된 각막 변성으로, 혼탁 부위 사이에 투명한 부분이 있는 이중고리 모양이 특징입니다. 각막 주변부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나타납니다.

41. 안경테의 다리벌림각과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는 부위는?
Answer: ② 패드암
패드암은 코받침과 안경테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안경테의 다리 벌림각과 경사각을 조정하여 착용자의 코에 맞게 안경을 편안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42. 안경테 소재로 사용하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Answer: ① 가열하면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한다.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가열하면 분자들 사이에 화학적 결합이 형성되어 3차원 망상구조를 만듭니다. 이로 인해 한 번 굳으면 다시 가열해도 녹지 않고 단단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43.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는 안경테 소재는?
Answer: ③ 니티놀
니티놀은 니켈과 티타늄의 합금으로, 형상기억합금의 일종입니다. 탄성이 뛰어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안경테 다리나 연결부 소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44. 안경렌즈 소재로 적합한 재질은?
Answer: ③ 굴절률이 크고 아베수가 큰 재질
안경렌즈는 굴절률이 클수록 렌즈의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어 미용적으로 좋고, 아베수가 클수록 색수차가 적어 선명한 시야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굴절률과 아베수가 모두 큰 재질이 안경렌즈 소재로 적합합니다.
45. 안경렌즈의 굴절률을 1.60에서 1.74로 증가시켰다. 렌즈에 나타나는 변화는? (단, 동영 굴절력원)
Answer: ② 아베수 증가
굴절률이 증가하면 렌즈의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렌즈 소재는 아베수가 낮은 경향이 있지만, 문제의 조건(동영 굴절력원)에 따라 굴절률이 증가하면 아베수도 함께 증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렌즈의 굴절률이 증가하면 렌즈의 두께는 얇아지고 무게는 가벼워지며, 아베수 증가는 색수차 감소를 의미합니다.
여러분 모두 힘내세요!! 아래는 저희 안경원입니다. 한번 방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