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도 37회 안경사 국가시험(1교시) 2 / 9

by 점비. 2025. 10. 5.
반응형

10. 눈을 감을 때 작용하는 근육의 지배신경은?
눈꺼풀을 감는 근육(눈둘레근)은 얼굴근육에 속하며, 얼굴근육의 운동은 얼굴신경(제7뇌신경)이 지배합니다. 
Answer: ② 얼굴신경


11. 눈물 배출 경로는?
눈물은 눈물샘에서 생성되어 눈물점, 눈물소관, 눈물주머니를 거쳐 코눈물관을 통해 아래콧길로 배출됩니다.
Answer: ⑤ 눈물점 → 눈물소관 → 눈물주머니 → 코눈물관 → 아래콧길

 

12. 양안이 오른쪽 방향을 주시할 때 동향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양안이 오른쪽을 주시할 때 오른쪽 눈은 가쪽으로, 왼쪽 눈은 안쪽으로 움직입니다.
오른쪽 눈의 외전(가쪽으로 움직임)은 가쪽곧은근의 수축으로 일어나며, 이 근육은 가돌림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왼쪽 눈의 내전(안쪽으로 움직임)은 안쪽곧은근의 수축으로 일어나며, 이 근육은 눈돌림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오른쪽 눈-가돌림신경, 왼쪽 눈-눈돌림신경입니다.

 

13. 색맹인 아버지와 정상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의 유전 빈도는? (단, 어머니는 보인자가 아님)
색맹은 X 염색체에 있는 열성 유전자에 의해 유전됩니다.
색맹인 아버지의 유전자형은 $X^cY$입니다.
정상 어머니의 유전자형은 $XX$입니다.
자녀에게 유전될 수 있는 유전자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딸: 아버지로부터 $X^c$를, 어머니로부터 $X$를 받아 $X^cX$가 됩니다. 이 경우 딸은 색맹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발현되지 않아 보인자가 됩니다.
아들: 아버지로부터 $Y$를, 어머니로부터 $X$를 받아 $XY$가 됩니다. 이 경우 아들은 정상입니다.
따라서 딸은 모두 보인자이고, 아들은 모두 정상입니다.
Answer:
④ 딸의 100%는 보인자

 

14. 다음 내용과 관련 있는 것은?
눈으로 느낄 수 있는 최소광선량
백색 배경에서 볼 수 있는 최소 측정의 크기
한 개의 점 또는 한 개의 선을 인식하는 능력
위 내용은 모두 눈이 식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각적 자극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력의 종류 중 최소가시시력에 대한 설명입니다. 최소가시시력은 눈이 감지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의 물체나 빛의 양을 측정하는 시력입니다.
Answer:
② 최소가시시력

 

15. 시야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Answer: ⑤ 시야 내에서 동등한 시력을 가진 점을 연결한 선을 이솝터 (isopter)라고 한다.
① 위쪽 시야가 가장 넓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코 쪽의 시야가 가장 좁고, 귀 쪽의 시야가 가장 넓습니다.
② 주시점으로부터 코 쪽에 생리적 맹점이 있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생리적 맹점은 시신경이 망막을 빠져나가는 부위에 위치하며, 주시점으로부터 코 쪽이 아닌 귀 쪽에 있습니다.
③ 주변시는 물체의 형태와 색채를 선명하게 인식한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주변시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 더 뛰어나고, 형태와 색채를 선명하게 인식하는 것은 중심시의 역할입니다.
④ 시야의 범위는 검사 시표의 크기나 색과는 무관하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시야의 범위는 시표의 크기가 클수록, 색이 밝을수록 넓어집니다.
⑤ 시야 내에서 동등한 시력을 가진 점을 연결한 선을 이솝터(isopter)라고 하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16. 다음 내용이 원인인 약시는?
Answer: ③ 시각차단약시
제시된 내용은 시각 발달 시기에 시각 자극이 차단되어 발생하는 약시의 원인에 해당합니다.
과도한 가림치료나 안대 착용, 백내장, 각막혼탁 등으로 인해 빛이 망막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여 시각 발달을 저해하는 경우를 시각차단약시(form deprivation amblyopia)라고 합니다.


17. 명순응과 암순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nswer: ② 암순응 장애 시 야맹이 나타난다.
① 명순응 시 동공이 축소됩니다. 동공은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밝은 곳에서는 빛의 양을 줄이기 위해 축소됩니다.
② 암순응은 어두운 곳에 적응하는 현상으로, 암순응에 장애가 생기면 어두운 곳에서 잘 보지 못하는 야맹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③ 암순응이 명순응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명순응은 수 초에서 1분 이내로 빠르게 일어나지만, 암순응은 수십 분이 소요됩니다.
④ 암순응 시 물체의 형태와 색채가 뚜렷하게 보인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암순응 시에는 색채를 감지하는 원추세포의 기능이 떨어져 명암을 감지하는 막대세포가 주로 작용하므로, 색채를 잘 구별하지 못하고 흑백으로 보입니다.
⑤ 암순응 시 원추세포가 막대세포보다 먼저 적용한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암순응 초기에는 원추세포의 순응이 먼저 일어나지만, 암순응의 대부분은 막대세포의 순응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18. 암순응 되었을 때 가장 밝게 느끼는 파장은?
Answer: ② 505 nm
암순응 상태에서는 망막의 막대세포가 주로 작용합니다.
막대세포는 약 505 nm(나노미터) 파장의 빛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암순응이 되었을 때 가장 밝게 느끼는 파장은 505 nm입니다. 이를 푸르키녜 현상(Purkinje effect)이라고 합니다.

 

19. Answer: ② 나겔의 색각경
설명
제시된 문제의 설명은 나겔의 색각경(Nagel's anomaloscope)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검사법은 적색광과 녹색광을 혼합하여 노란색 기준색과 동일하게 맞추는 방식으로 색각이상의 종류와 정도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작 방법이 복잡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분 모두 힘내세요!! 아래는 저희 안경원입니다. 한번 방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카카오톡 바로가기
유튜브 영상 보러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