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경관련 상식/안경 제작부터 검사까지 상식

12. 내 눈에 어울리는 천생연분 안경도수을 찾는 검사(굴절검사(Refractive Examination))

by KHMS 2025. 1. 22.
반응형

**굴절검사(Refractive Examination)**란?

굴절검사는 눈의 굴절 이상(시력 문제)을 측정하여 적합한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의 도수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굴절 이상이란 눈에 들어온 빛이 망막에 정확히 초점을 맞추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근시, 원시, 난시, 노안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이 검사는 안경사 또는 안과 의사가 시력 교정을 위해 반드시 수행하는 필수 단계입니다.

 

 

1. 굴절검사의 목적

굴절검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수행됩니다.

1. 굴절 이상 확인

근시(Myopia): 먼 거리가 흐릿하게 보이는 상태.

원시(Hyperopia): 가까운 거리가 흐릿하게 보이는 상태.

난시(Astigmatism): 빛이 여러 초점을 만들어 왜곡된 상이 망막에 형성되는 상태.

노안(Presbyopia): 나이가 들면서 가까운 거리가 흐릿하게 보이는 상태.



2. 시력 교정


안경, 콘택트렌즈 또는 기타 교정 장치를 통해 선명한 시야를 제공합니다.


3. 눈 건강 확인


굴절 이상이 눈 질환과 관련이 있는지 평가합니다.

 

2. 굴절검사 과정

굴절검사는 일반적으로 두 단계로 나뉩니다: 자동 굴절검사와 주관적 굴절검사.

(1) 자동 굴절검사(Autorefraction)

자동 굴절검사는 기계를 사용하여 눈의 굴절 상태를 빠르게 측정하는 과정입니다.

방법

1. 검사자가 자동 굴절검사 기계(오토리프랙터)에 머리를 고정합니다.


2. 기계가 눈에 빛을 비추고 망막에 반사된 빛의 정보를 분석하여 굴절 상태를 계산합니다.



특징

빠르고 간단하며, 초기 도수 측정을 제공합니다.

대략적인 값만 제공하므로 이후 주관적 검사를 통해 정확성을 보완합니다.



(2) 주관적 굴절검사(Subjective Refraction)

주관적 굴절검사는 환자의 반응을 바탕으로 렌즈를 조정하여 가장 선명한 시야를 찾는 과정입니다.

방법

1. 포롭터(Phoropter)라는 장비를 사용하여 다양한 렌즈를 환자의 눈 앞에 놓습니다.


2. 검사자는 "이 렌즈가 더 잘 보이시나요?" 또는 "이전 렌즈와 비교했을 때 더 선명한가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환자의 선호도를 확인합니다.


3. 근거리와 원거리 시력을 각각 측정합니다.



특징

환자의 주관적 반응을 기반으로 정확한 도수를 결정합니다.

 

3. 검사에서 측정하는 요소

굴절검사는 단순히 시력만 측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1) 구면 도수(Spherical Power)

근시와 원시를 교정하는 데 필요한 렌즈의 도수를 측정합니다.

음수(-): 근시 교정.

양수(+): 원시 교정.


(2) 난시 도수(Cylindrical Power)와 축(Axis)

난시를 교정하기 위해 렌즈의 곡률과 방향을 측정합니다.

(3) 동공 거리(PD, Pupillary Distance)

동공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렌즈 중심을 정확히 맞춥니다.

(4) 근거리 시력 및 추가 도수(Add Power)

노안 환자의 경우 근거리 초점을 맞추기 위한 추가 렌즈 도수를 측정합니다.

 

4. 굴절검사 결과 해석

굴절검사 결과는 처방전 형태로 제공되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합니다.

SPH (Sphere): 근시 또는 원시 교정값.

CYL (Cylinder): 난시 교정값.

AXIS: 난시 교정 렌즈의 방향.

ADD: 노안 교정값(필요한 경우).

PD (Pupillary Distance): 동공 간 거리.

 

5. 굴절검사가 중요한 이유

1. 시력 교정
굴절검사는 정확한 도수를 제공하여 시야를 선명하게 만듭니다.


2. 눈 건강 유지
굴절 이상이 제대로 교정되지 않으면 두통, 눈의 피로, 집중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질환 조기 발견
굴절 이상이 특정 눈 질환(녹내장, 백내장 등)의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정기 검진을 통해 눈 건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6. 굴절검사 전 준비 사항

1. 문진
눈 피로, 두통, 눈부심 등의 증상이 있다면 미리 검사자에게 알립니다.


2. 콘택트렌즈 착용자
검사 전 일정 시간 동안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단해야 할 수 있습니다(소프트렌즈: 1~2일, 하드렌즈: 1주).


3. 의학적 기록
이전 시력검사 기록이나 안과 진단이 있다면 검사 시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7. 정기적인 굴절검사의 중요성

성인: 1~2년마다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 시력 변화를 확인해야 합니다.

어린이 및 청소년: 성장기에 시력이 급격히 변화할 수 있으므로 6개월~1년마다 검사가 권장됩니다.

고령자: 백내장, 노안 등 나이와 관련된 눈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정기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8. 굴절검사 후

검사 결과를 토대로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를 맞춥니다.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눈 건강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9. 결론

굴절검사는 눈의 굴절 이상을 확인하고,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초보자라도 쉽게 받을 수 있는 검사로, 눈 건강을 유지하고 시력 문제를 조기에 교정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적으로 굴절검사를 받는 습관을 통해 선명하고 건강한 시야를 유지하세요.

 

 

 

 

 

 

 

 

반응형